학술회의
연번 | 주제 | 주최 | 기간 | 장소 |
---|---|---|---|---|
1 | 식민지 관료의 세계 | 인문한국(HK)연구소 · 일본 학습원대학 공동 | 2008.05.19 | 성균관대 |
2 | 국가체제와 동아시아질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8.08.22~08.23 | 성균관대 |
3 | 동아시아자료학의 가능성 모색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8.08.28.~29 | 성균관대 |
4 | 東アヅアの陽明學 | 인문한국(HK)연구소 · 경북대학 · 복단대학 · 일본 학습원대학 공동 | 2008.09 | 일본 학습원대 |
5 | 동아시아 전통지와 확인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8.09.05~09.06 | 성균관대 |
6 | 북 · 중 관계: 구조와 이슈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지역연구소 공동 | 2008.09.25 | 성균관대 |
7 | 帝國と植民地官僚 | 인문한국(HK)연구소 · 일본 학습원대학 공동 | 2008.10.18 | 일본 학습원대 |
8 | 2009년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내셔널리즘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지역연구소 공동 | 2009.01.21 | 성균관대 |
9 | 식민지 검열과 근대텍스트 | 인문한국(HK)연구소 · BK21 동아시아학 융합사업단 공동 | 2009.02.27 | 성균관대 |
10 | 1919년 동아시아 근대의 새로운 전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02.13~02.14 | 성균관대 |
11 |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개발 및 출판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지역 연구소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동 | 2009.02.19~02.21 | 성균관대 |
12 |
近代智識的成長與媒體: 東亞的視野 |
인문한국(HK)연구소 · 복단대학 공동 | 2009.02.27~02.28 | 중국 복단대 |
13 | 1919.3.1-주체, 문화, 기억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03.20~03.21 | 성균관대 |
14 | 통치와 정치 사이-조선총독부 관료의 내면과 현실 | 인문한국(HK)연구소 · 일본 학습원대학 공동 | 2009.05.15 | 성균관대 |
15 |
5.4운동 9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오사, 기억과해석, 동아시아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05.22~05.23 | 성균관대 |
16 | THE FORIEGN OCCUPATIONS IN KOREA AND IN FRANC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OURCES AND ISSUES | 인문한국(HK)연구소 · 소르본느대학 공동 | 2009.06.18~06.20 | 불가리아 소르본느대 |
17 | 족보의 사회문화사/역사인구학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08.27 | 성균관대 |
18 | 한국학 교과서 포럼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10.23 | 성균관대 |
19 | 동아시아 근대학술 전범의 형성 | 인문한국(HK)연구소 | 2009.10.23 | 국도호텔 |
20 | 한중양국정부 거버넌스 모델 비교 | 인문한국(HK)연구소 · 북경대학 정치관리연구소 공동 | 2010.01.08~01.11 | 중국 북경대 |
21 | 근대 검열과 동아시아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1.22 | 성균관대 |
22 | 죄와 벌, 그리고 시적 정의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3.05 | 성균관대 |
23 |
또 다른 변주의 가능성-주자학 형성기의 지적 다양성과 동아시아 지성사의 새로운 시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6.17 | 성균관대 |
24 | 국제심포지엄 <동아시아 근대 아카데미즘의 형성과 국가권력>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7.06~07.07 | 성균관대 |
25 | 前近代 동아시아 小說의 交流 |
인문한국(HK)연구소 · BK21 동아시아학 융합사업단 · WCU · 한국중국소설학회 · 중국수도사범대학 공동 |
2010.08.10 | 성균관대 |
26 | 한일 문학, 문화의 '트랜스내셔널'과 그 전망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8.20 | 성균관대 |
27 | <논어>와 동아시아-地下의<論語>, 紙上의<論語>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08.26~08.27 | 성균관대 |
28 | 식민지관료 연구의 현재와 미래 | 인문한국(HK)연구소 · 일본 학습원대학 공동 | 2010.09.11 | 성균관대 |
29 | 정치발전과 경제발전의 비교연구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0.12.27 | 성균관대 |
30 | 탈식민 냉전 국가의 형성과 검열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02.18~19 | 성균관대 |
31 | 한국 근현대사와 박완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여성문학학회 공동 | 2011.04.30 | 성균관대 |
32 | 중국 민주주의 연구 시리즈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05.21 | 성균관대 |
33 | 조선왕조의 재정운영-원리와 이념의 시선에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07.15 | 성균관대 |
34 | 검열의 전이와 변용 | 인문한국(HK)연구소 · 일본문리대학 공동 | 2011.07.23 | 일본 문리대 |
35 | 동아시아 족보의 특성과 연구과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08.04~08.05 | 성균관대 |
36 | 청년과 한중관계, 청년과 환경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지역연구소 공동 |
2011.11.01 | 성균관대 |
37 | 조선왕조 현물재정 운영의 방식과 현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12.16 | 성균관대 |
38 | 탈식민 냉전 국가의 형성과 검열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1.12.18~12.19 | 성균관대 |
39 |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2.10~02.12 | 성균관대 |
40 | 한국근대 학술사의 구도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2.16 | 성균관대 |
41 | 근대 검열과 동아시아 II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3.17 | 성균관대 |
42 |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중국의 대전환과 한중관계 미래 | 인문한국(HK)연구소 · (사)현대중국학회 공동 | 2012.05.12 | 성균관대 |
43 | 20세기 초 한국과 대만의 인구와 토지에 관한 자료와 연구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6.28 | 성균관대 |
44 | 유교문화 해석을 중심으로/전환기의 유교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7.09 | 성균관대 |
45 | 임술민란 150주년기념 학술대회 "19세기 동아시아의 민중운동과 조선사회"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7.20 | 성균관대 |
46 |
한국(어문)학의 통국가적 구성과 변전, 이중어사전으로 본 근대 한국의 근대어, 번역어, 개념어 |
인문한국(HK)연구소 · 부산대 인문한국(HK)연구소 · 점필재연구소 공동 | 2012.07.27 | 성균관대 |
47 |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과 일본의 사회와 문화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08.24 | 성균관대 |
48 | 제 6회 한중대학생포럼 | 인문한국(HK)연구소 · 성균중국연구소 공동 | 2012.10.24 | 성균관대 |
49 | 시진핑 체제의 등장과 중국의 미래 | 인문한국(HK)연구소 · 성균중국연구소 공동 | 2012.11.24 | 영남대 |
50 | 조선후기 호적을 통해 본 계보와 사회적 네트워크 | 인문한국(HK)연구소 · 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12.12.07 | 성균관대 |
51 | 성균중국연구소 개소 기념 제7차 성균관대-베이징대 국제학술회의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2.12.18 | 성균관대 |
52 | 사상의 형상, 병문(屛門)의 작가-새로운 염상섭 문학을 찾아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경향신문사 공동 | 2013.01.17 | 성균관대 |
53 | 비상시 검열-선전의 시대 1940~1950: 두개의전쟁, 제국, 국가 사이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공동 | 2013.01.30 | 성균관대 |
54 | 글로벌리딩을 위한 한국여성문학 엔솔로지 : 그 시작과 시각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공동 | 2013.04.06 | 성균관대 |
55 | 조선왕조 재정제도의 지속과 변동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역사연구회 공동 | 2013.04.20 | 성균관대 |
56 | 또 하나의 대국, 인도에서 본 중국 |
인문한국(HK)연구소 · 성균중국연구소 · 인도 델리대학 공동 |
2013.05.31 | 성균관대 |
57 | 호적 족보 자료를 이용한 사회사 연구방법 | 인문한국(HK)연구소 · 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13.07.01~04 | 성균관대 |
58 | 19세기 말 ~ 20세기 초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삶과 사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3.08.16 | 성균관대 |
59 | 개념으로 보는 해방 전후사-문학, 정치, 일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림대 한림과학원 공동 | 2013.08.23 | 성균관대 |
60 | 독립국가 수립 이후의 식민지 유산과 사회발전(정치 · 사회 · 문화 영역) | 인문한국(HK)연구소 · 소피아대 한국학과 공동 | 2013.08.29 | 성균관대 |
61 |
HK사업 학술회의 조선시대 公 담론의 새로운 모색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역사연구회 공동 | 2013.09.28 | 성균관대 |
62 | 식민지 지식장의 변동과 사회주의 문화정치학 | 인문한국(HK)연구소 · 민족문학사연구소 공동 | 2013.10.05 | 성균관대 |
63 | 아래로부터의 글쓰기, 타자의 문학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국대 문화학술원 공동 | 2013.11.08~09 | 동국대 |
64 | 20세기 전반기 조선호적의 혼인기록에 대하여 | 인문한국(HK)연구소 · 대만 중앙연구원 공동 | 2014.05.09 | 대만 중앙연구원 |
65 |
성균관대 조선시대사학회 공동학술회의 조선왕조의 정치와 公論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 조선시대사학회 공동 | 2014.06.27 | 성균관대 |
66 | 성균관대-길림대 국제학술회의 | 인문한국(HK)연구소 · 길림대학 공동 | 2014.07.03~04 | 중국 길림대 |
67 | 백제 문자자료의 정리와 과제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목간학회 공동 | 2014.08.02 | 성균관대 |
68 |
두개의 전쟁 사이 -1941~1953 동아시아 국가의 재형성과 문학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4.08.18~19 | 성균관대 |
69 | 동아시아에서 21세기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 인문한국(HK)연구소 · BK21플러스 동아시아학 융합사업단 공동 | 2014.08.21~22 | 성균관대 |
70 |
성균관대 소피아대 공동학술회의 독립국가 형성과정과 정치 · 사회 · 문화적 역사 환경 연구-냉전시기 한반도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 BK21+ 동아시아학 융합사업단 공동 | 2014.08.27 | 성균관대 |
71 | 동학농민운동 120주년 기념학술대회 |
인문한국(HK)연구소 · 수선사학회 ·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사학과 BK21+사업단 · 천도교 공동 |
2014.08.29~30 | 성균관대 |
72 |
성균관대 고창군 공동학술회의 오지영의 동학사에 대한 종합적 검토 |
인문한국(HK)연구소 · 고창군 공동 | 2014.11.05 | 성균관대 |
73 |
아래로부터의 글쓰기와 타자의 문학 2-노동 · 자본의 문화적 전회, 또는 민주주의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국대 문화학술원 · BK21플러스 동아시아학 융합사업단 공동 |
2014.11.14~15 | 동국대 |
74 |
식민지 시기의 출판 자본과 출판문화-근대 출판과 <판매도서목록>의 문화사 |
인문한국(HK)연구소 · 근대서지학회 공동 | 2015.02.06 |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 회관 |
75 |
성균관대 한림대 공동학술회의 19세기 동아시아-변화와 지속, 관계와 비교 1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 한림대 한림과학원 공동 | 2015.02.13~14 | 성균관대 |
76 |
제3회 안전과 생명윤리포럼 : 인문학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월호 사건 일주기 -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 |
인문한국(HK)연구소 · 이화여대 생명의료법 연구소 공동 | 2015.04.17 | 이화여대 |
77 |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학술회의 일본의 ‘전후’와 ‘동아시아’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공동 | 2015.05.16 | 성균관대 |
78 |
2015년 성균관대 프랑스어권연구소 심포지엄
프랑스 외교자료를 통해 본 대한제국의 식민지화 |
인문한국(HK)연구소 · 근대 한불관계 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토대연구팀 공동 |
2015.05.29 | 성균관대 |
79 |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공동주최 학술회의 조선후기 부세수취관행과 ‘중간비용’ |
인문(HK)한국연구소 · 한국역사연구회 공동 | 2015.05.30 | 성균관대 |
80 |
성균관대 소피아대 공동학술회의 식민지 이후 정치, 경제, 문화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한국과 불가리아의 사례 |
인문(HK)한국연구소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 공동 | 2015.06.23 | 성균관대 |
81 |
한국냉전학회 창립 기념 학술회의 냉전과 동아시아 분단체제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냉전학회 공동 | 2015.06.25 | 성균관대 |
82 | 한국사회와 성/문제 : 식민지 자본주의에서 신자유주의까지 | 인문한국(HK)연구소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공동 | 2015.07.03 | 성균관대 |
83 | 동아시아 역사인구학의 과제 : 사회 불평등의 기원과 연구방법론 | 인문한국(HK)연구소 · 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15.08.18~20 | 성균관대 |
84 | 동아시아 연구 : 동향과 전망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5.08.21 | 성균관대 |
85 |
성균관대 길림대 공동학술회의 글로벌적 시각에서의 동아시아 인문사회과학 연구 |
인문한국(HK)연구소 · 길림대학 공동 | 2015.08.29 | 길림대 |
86 |
성균관대 고창군 공동학술회의 동학농민혁명 당시 고창지역 농민군활동에 대한 재조명 |
인문한국(HK)연구소 · 고창군 공동 | 2015.10.30 | 성균관대 |
87 | New Perspective on the cultural History of 1980s Korea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 USC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공동 |
2015.11.06~07 |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 |
88 |
一蠹 鄭汝昌 先生 기념 학술회의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5.11.27 | 성균관대 |
89 | 제도로서의 문학 연구, 새로운 방법론과 존재론을 위하여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문학연구학회 공동 | 2015.12.05 | 성균관대 |
90 | 동아시아 족보의 문화사: 족보의 형태와 그 문화적 의미 | 인문한국(HK)연구소 · 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16.01.14 | 성균관대 |
91 |
아래로부터의 글쓰기, 타자의 문학 III <1980년대 문학의 위치와 변혁운동>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2.17 | 성균관대 |
92 |
성균관대 한림대 공동학술회의 19세기 동아시아-변화와 지속, 관계와 비교 2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림대 한림과학원 공동 | 2016.02.18~19 | 성균관대 |
93 |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전망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7.20~23 | 성균관대 |
94 | 동아시아 관점에서의 한국학 연구, 그 현황과 전망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7.21~22 | 성균관대 |
95 |
연속기획, 탈근대론 이후 1 - 식민성과 중첨된 시간들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8.19~20 | 성균관대 |
96 |
경학의 원류와 창신-역사성과 지역성의 시야에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8.23~24 | 성균관대 |
97 |
성균관대 길림대 공동학술회의 글로벌적 시각에서의 탈경계 동북아시아 문화교류 |
인문한국(HK)연구소 · 길림대 공동 | 2016.08.27 | 중국 길림대 |
98 |
법학과 인문학의 탈경계: 동아시아의 법률과 문화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6.09.27 | 성균관대 |
99 |
성균관대 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공동학술회의 전봉준 장군 생가터의 역사적 의의와 활용 및 보존 방안-전봉준 및 고창지역 농민군의 활동과 관련하여- |
인문한국(HK)연구소 · (사)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 사업회 공동 | 2016.11.10 | 성균관대 |
100 |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동의 장기적 관점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7.02.09 | 성균관대 |
101 | 동아시아 출토자료 연구의 현재와 미래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7.02.14~15 | 성균관대 |
102 |
성균관대 한림대 공동학술회의 19세기의 동아시아의 국가와 사회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7.02.16~17 | 성균관대 |
103 | 사회주의 국제주의와 연대의 딜레마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냉전학회 공동 | 2017.02.24 | 성균관대 |
104 |
여자들이 쓴 여자들, 그 이후 : 한국 여성주의 지식 문화 생성의 여정 |
인문한국(HK)연구소 · 상허학회 공동 | 2017.07.07 | 성균관대 |
105 |
연속기획, 탈근대론 이후 2 - 한국의 학술 엘리트 : 성격과 이데올로기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7.08.25 | 성균관대 |
106 |
고창지역 동학 농민군의 활동과 기념사업의 방향 |
동아시아학술원 · (사)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 사업회 공동 |
2017.11.16 | 성균관대 |
107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이민, 이주,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활동 |
동아시아학술원·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Asian American Studies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Asian Pacific Studies Program, 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 |
2017.11.24 | 서울대 |
108 |
연속기획, 탈근대론 이후 3 - 근대의 시간관과 학술사회 |
동아시아학술원 |
2018.02.21~22 | 성균관대 |
109 |
19세기 동아시아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 모색 |
동아시아학술원 |
2018.02.23 | 성균관대 |
110 |
동아시아 지역 연구의 다양성과 새로운 전망 |
인문한국(HK+)연구소 · 성균관대학교 성균일본연구소 · 동아시아일본학회 공동 |
2018.05.25~26 | 성균관대 |
111 |
고창지역 동학농민혁명과 전봉준 장군 |
인문한국(HK+)연구소 · (사)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 사업회 공동 |
2018.11.08 | 성균관대 |
112 |
1980년대, 박완서 소설과 사회 |
인문한국(HK+)연구소 · 한국여성문학학회 공동 |
2018.11.10 | 성균관대 |
113 |
동아시아의 사문서 연구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9.01.25~26 | 성균관대 |
114 |
탈분단시대 평화공존의 통섭적 성찰: 과학기술과 지역표상 |
인문한국(HK+)연구소· 대동문화연구원 ·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공동
|
2019.03.15 |
성균관대 |
115 |
페미니즘 지식문화의 동아시아적 유동과 변환 |
인문한국(HK+)연구소·한국여성문학학회 공동 |
2019.05.11 |
성균관대 |
116 |
경계선을 부수는, 평화의 세기로 |
인문한국(HK+)연구소·냉전학회·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공동 |
2019.06.14 |
성균관대 |
117 |
한국 ‘전근대’의 양전과 부세제도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9.07.19 |
성균관대 |
118 |
2019년 공동 정례 학술회의 동유럽 자료로 읽는 한국학-불가리아와 한반도의 상호인식을 중심으로 |
인문한국(HK+)연구소 · 동아시아학술원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공동 |
2019.07.30 |
성균관대 |
119 |
정치행위자로서의 번역자 – 근대 동아시아의 서양지식담론 수용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9.10.11 |
성균관대 |
120 |
동아시아 평화체제와 남북한 문화예술 교류 방향 |
동아시아학술원 · 북한대학원대 남북한마음통합연구센터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공동 |
2019.10.25~26 | 성균관대 |
121 |
평화의 감성학 |
동아시아학술원 · 남북문학예술연구회 공동 |
2019.11.02 | 성균관대 |
122 |
함께 쓰는 한국 근대문학사 – 문학연구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9.11.23 |
성균관대 |
123 |
3·1운동을 둘러싼 기억, 사상의 지형 |
인문한국(HK+)연구소·한국일본사상사학회 공동 |
2019.11.23 |
성균관대 |
124 |
제1회 신진학자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의 기록과 표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19.12.05 |
성균관대 |
125 |
名畫의 발견 大家의 탄생 : 한국회화사를 돌아보다 |
인문한국(HK+)연구소·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19.12.13 |
성균관대 |
126 |
디지털 전환과 인문학 |
동아시아학술원 ·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 반교어문학회 공동 |
2019.12.13~14 | 성균관대 |
127 |
노동‧젠더‧세대 : 매체, 권력, 운동으로 보는 반세기의 요동 |
인문한국(HK+)연구소·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공동 |
2019.12.20~21 |
성균관대 |
128 |
1960-70년대 냉전 문화를 읽다 |
동아시아학술원 | 2020.01.31 | 성균관대 |
129 |
戶籍 작성의 원리와 사회현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20.02.14 | 성균관대 |
130 | 트렌스, 페미니즘 -김지영을 함께 읽다 |
인문한국(HK+)연구소·일본 니혼대 문리학부 문학과 미디어 환경연구회 공동 |
2020.08.08 | 성균관대 |
131 | 근대전환기 국가 권력과 사회 질서 | 인문한국(HK+)연구소 | 2020.08.25 | 성균관대 |
132 | 예술의 주체-한국회화사에서 에이젼시 Agency를 찾다 | 인문한국(HK+)연구소·대동문화연구원 공동 | 2020.11.07 | 성균관대 |
133 |
제2회 신진학자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상상과 시각적 표상 |
인문한국(HK+)연구소 | 2020.12.11 |
성균관대 |
초청강연
연번 | 발표자 | 강연주제 | 일자 |
---|---|---|---|
1 |
복헌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
湘西里耶秦簡과秦代歷史硏究 | 2008.05.27 |
2 |
Michael Schoenhals (Lund University in Sweden) |
"문화대혁명",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가?; 연구 동향과 전망 | 2008.06.25 |
3 | 市來津由彦(히로시마대) | 중국 '文言' 표기문 번역기술로서의 일본어 한문 훈독기법 / 주희 문인 집단의 연구 | 2008.08.07 |
4 | 葛兆光(복단대) | 중국학계는 왜 다시 사상사에 주목하는가?(近年中国学界为何关注思想史) | 2009.05.06 |
5 | 戴燕(복단대) | 노신의 위진풍도론을 다시 본다 | 2009.05.07 |
6 | 鈴木貞美(日本京都,國際日本文化硏究) | 槪念編成史 硏究의 意義와 方法 | 2009.05.08 |
7 |
Evelyn S. Rawski (University of Pittsburgh) |
The Chosǒn-Manchu Relationship and East Asian History | 2009.05.21 |
8 | 石川禎浩(교토대학) | 中国におけるマルクス主義の伝播と日本 | 2009.06.02 |
9 | 김경호(성균관대) | 古代 中國의 法律 구성과 그 체계 - 睡虎地秦墓竹簡을 중심으로 | 2009.07.31 |
10 | 임중혁(숙명여대) | 秦漢律의 체계와 운용 | 2009.08.28 |
11 | 葉舒憲(중국 사회과학원) | 從鸱鸮的考古圖像六千年譜系解析玄鳥神話 | 2009.09.17 |
12 | 도면회(대전대) | 근대 한국의 재판 제도 | 2009.10.09 |
13 | 박영철(군산대) | 名公書判淸明集과 중국 법사회사 연구 | 2009.11.13 |
14 | 염정삼(서울대) | 소학(小學), 경전해석학인가 언어학인가 | 2010.03.18 |
15 | 粟屋憲太郞(릿쿄대) |
도쿄재판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바라본 도쿄재판 |
2010.03.30 |
16 |
Ayman El-Desouky (SOAS, University of London) |
The Danger of Dialog? - Heidegger on Aistheton and Noeton vs. Iro(色) and Ku(空) | 2010.03.31 |
17 | 조지만(아주대) | 조선시대의 법과 대명률(大明律) | 2010.05.28 |
18 | 朱英(華中師範大) | 當代中國商會的發展,作用及其存在的問題 | 2010.06.10 |
19 | Tze-ki Hon(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Geneseo, USA) |
지구적 자본주의와 중국의 근대성 -최근 근대 중국의 지성사 연구 동향 |
2010.06.18 |
20 | 차혜원(연세대) | 녹주공안(鹿洲公案)에 나타난 지방사법행정의 모습 | 2010.06.25 |
21 |
티모시 브룩(Timothy Brook)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비교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의 형벌 | 2010.09.17 |
22 | 何吉賢(중국 사회과학원) | 張承志和中國觀 | 2010.10.25 |
23 |
박선영 (USC 동아시아 언어문화학) |
Rereading Colonial Leftist Literatu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 2011.01.14 |
24 |
王中忱(칭화대) 李廷江(칭화대) 王禹浪(다리앤대동북사 연구중심) |
동아시아 사상사와 지역연구 연속기획 -「동북연구의 문제와 방법」 |
2011.02.24 |
25 | 림원춘 작가(연변 작가협회) |
동아시아 사상사와 지역연구 연속기획 -「연변문학과 중국 조선족의 역사」 |
2011.03.25 |
26 | Tan Sor Hoon(싱가폴 국립대) | 유교 민주주의의 문화적 연원 | 2011.10.12 |
27 | 陳芳明(대만 정치대) | 대만 근대문학의 성격 | 2011.10.27 |
28 |
Lothar von Falkenhausen (미국 UCLA대) |
공자시대 중국의 청동기 : 해석상의 문제들 -정(鄭)과 북중국의 사례를 통해 본 춘추 중기의 의례재편 |
2012.10.05 |
29 |
보데인 왈라번 (네덜란드 라이덴대) |
유럽의 동아시아학 : 전통(들)의 발전과 글로벌 담론의 출현 | 2012.11.29 |
30 |
보데인 왈라번 (네덜란드 라이덴대) |
가사(歌辭), 소통, 그리고 여론(Kasa, Communication, and Public Opinion) | 2012.12.06 |
31 | 藤本幸夫(일본 도야마대) | 대영박물관 소재 조선본에 관하여 | 2012.12.10 |
32 | 홍사현(연세대) |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음악철학에 관하여 | 2013.03.04 |
33 | 왕싱위(중국 인민대) | 한반도 안보정세와 중일 관계 | 2013.05.21 |
34 | Dimitrov Ivan Ilchev(소피아대) | 동유럽 학계에서의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관련 연구 현황 소개 및 관련 분야 연구 | 2013.07.11 |
35 | 김문경(일본 교토대) | 元代 雜劇 - 西廂記(서상기) | 2013.07.23~07.25 |
36 | 김문경(일본 교토대) | 서상기 동상기 | 2013.07.29 |
37 | Owen Flanagan(미국 듀크대) | 21세기의 도덕심리학이 동아시아 철학을 만나다 - 제 1부: 맹자와 도덕심리학 | 2013.10.31 |
38 | Owen Flanagan(미국 듀크대) |
21세기의 도덕심리학이 동아시아 철학을 만나다 - 제 2부: 사단칠정론과 도덕심리학 |
2013.11.01 |
39 |
Marie Seong-Hak Kim (St. Cloud State University) |
한국 법제사 연구에 대한 몇 가지 비교사적 고찰: 법과 관습의 개념을 중심으로 | 2013.11.27 |
40 |
Michael Slote (미국 마이애미대) |
음양 개념에 대한 새로운 사유 (Updating Yin and Yang) |
2014.09.24 |
41 |
Michael Slote
(미국 마이애미대) |
인간 삶에 대한 새로운 소묘 (Picturing Human Life) |
2014.09.26 |
42 |
도미야마 이치로 (일본 도시샤대) |
탈식민지화를 떠맡는 언어의 존재방식에 대하여 -프란츠 파농과 오키나와로부터 생각한다 |
2015.01.22 |
43 | 神野志隆光(日本 東京大) | 방법으로서의 텍스트 이해 -『일본서기』와『고사기』사이의 40년 | 2015.03.11 |
44 |
齋藤稀史(日本 東京大) |
근대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한문체 - 권위와 통용 | 2015.03.12 |
45 | 松本武祝(日本 東京大) | 분석틀로서의 '식민지근대'론의 재검토 | 2015.04.30 |
46 | 松本武祝(日本 東京大) | 좌담회 | 2015.05.01 |
47 |
Ross K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북한의 '문화어' 기획 담론 속의 언어 예절, 여성어, 언어 도덕 | 2015.05.12 |
48 |
Pierre-Emmanuel Roux (Ruhr-University Bochum) |
십자가, 고래 그리고 대포-19세기 중엽 프랑스의 대조선 정책에 대한 재검토 | 2015.05.28 |
49 | John Duncan(UCLA) | 제국과의 교섭: 몽고간섭기와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경우 | 2015.06.19 |
50 |
Young Kyun Oh (Arizona State University) |
문맹자를 위한 책- 삼강행실도 | 2015.07.02 |
51 |
Eugene Park (University of Pennsylvania) |
조선시대 개성왕씨의 정치적 위상과 사회적 지위 | 2015.07.08 |
52 |
Xu Bin(徐彬) (중국 안휘사범대) |
The Rise of Hui(徽) Local Studies and Hui Local Society in Ming-Qing China | 2015.07.16 |
53 |
Xu Bin(徐彬) (중국 안휘사범대) |
The Value of Genealogies in Hui Local Society, Ming-Qing China | 2015.07.17 |
54 | 김홍규(연세대) |
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전후의 나의 생각 |
2015.07.17 |
55 | 강관식(한성대) | 다른 근대, 조선 후기 궁중 화원과 회화사의 변모에 대하여 | 2015.07.24 |
56 |
Zhao Lian Shang(趙連常)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
A Study of Dress as an Imperial Gift in Ming China | 2015.07.29 |
57 |
Zhao Lian Shang(趙連常)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
The Dress Code of Bureaucratic Examiners and Examinees in State Examinations in Ming China | 2015.07.30 |
58 | 황종연(동국대) | 식민성과 근대성 - '석굴암'이라는 논제를 실마리로 | 2015.07.31 |
59 | 송도영(한양대) | 서울의 문화 영토성과 다문화 소통- 이태원의 사례 | 2015.08.07 |
60 |
Marie S. Kim (St. Cloud State University) |
한국 식민지 시대의 법률 | 2015.08.10 |
61 |
Marie S. Kim (St. Cloud State University) |
한국 유신 시대의 법률 |
2015.08.12 |
62 |
Marie S. Kim (St. Cloud State University) |
한국 식민지 / 유신 시대의 법률(온라인 강좌) | 2015.08.14 |
63 |
CHU Hung-Iam(朱鴻林) (홍콩이공대) |
中國鄕約制度의 초기 변화 | 2015.08.12 |
64 |
CHU Hung-Iam(朱鴻林) (홍콩이공대) |
中國經筵制度의 초기 변화 | 2015.08.13 |
65 |
Jonas Helgertz (University of Lund) |
과거와 현재 스웨덴에서의 보건 및 사회경제적 상황 | 2015.08.18 |
66 |
Kenneth M.Wells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
Preserving a Sense of History in a Multi-disciplinary Study | 2015.10.08 |
67 |
竹內信夫 (日本 東京大) |
동아시아 근대의 법과 사상, 베르그송 사상과 관련하여 | 2015.10.16 |
68 |
Baev Jordna Angelov (G.S. Rakovski National Defense Academy, Bulgaria) |
불가리아 문서보관소 소장 남북한 관련자료 | 2015.10.26 |
69 | 조한(홍익대) |
'기억의 감동'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감동은 공간이 아니라 시간이다" |
2015.10.30 |
70 | 김영미(국민대) | 어느 농촌 마을의 새마을운동 이야기 | 2015.11.27 |
71 |
Liu Dao Sheng(刘道胜) (安徽師范大) |
민간문서의 발굴 및 정리와 중국사 연구 | 2015.12.01 |
72 |
Ross K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Ditching 'Diglossia': Describing Ecologies of the Spoken and Inscribed in Pre-modern Korea | 2015.12.15 |
73 | Cui yi(崔一) (中國 延邊大) | '만주기행문'을 통해 본 한국인의 '경계'인식 | 2015.12.19 |
74 | 佐川英治(東京大) | 古代東アジアの都城の理念 | 2016.01.15 |
75 |
이영미(성공회대) |
늴리리야와 라틴음악이 엮이던 시대- 1950년대 신민요의 역사적 위상 | 2016.03.25 |
76 | 고영란(日本大) | '평민' 행사들의 정보전-혁명 시대와 일본어 미디어의 항쟁 | 2016.03.26 |
77 | 紅野謙介(日本大) | 전후 일본의 좌익운동의 분열과 탐정소설-‘50년문제'와 노마 히로시의 <진공지대>를 둘러싸고 | 2016.03.26 |
78 | 허수열(충남대) | 식민지 근대화론의 재검토-식민지 자본주의, 공업화, 시장문제 등을 둘러싸고 | 2016.04.15 |
79 | 신현준(성공회대) |
이동하는 서울의 음악적 장소들 - 1980 ~ 1990년대 |
2016.04.29 |
80 |
조준형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
박정희 정권 후반기 영화와 섹스 그리고 국가 | 2016.05.27 |
81 |
Wang zhongchen(王中忱) (淸華大) |
동아시아 ‘동북학’의 가능성: 중국의 연구동향과 전망을 중심으로 | 2016.06.15 |
82 |
황경문(USC 동아시아연구센터) |
The sacrifices of Youth : Historical Feature Films on South Korea's Longue Durée | 2016.06.21 |
83 | 小野耕二(名古屋大) | 정치에 관한 새로운 관점-정치와 정치학의 현대적 변용을 근거로- | 2016.06.23 |
84 |
조희경(미국 워싱턴대) |
잊혀진 번역의 역사 : 러시아, 일본 그리고 한국 근대문학 | 2016.07.13 |
85 |
Piao cankui(朴燦奎) (中國 延邊大) |
동아시아 '동북학'의 가능성에 대하여 2 | 2016.07.15 |
86 | 도면희(대전대) | 한국 근대 형벌제도와 식민지 국가성 | 2016.07.15 |
87 | 박선영(미국 남가주대)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달: 한국 SF 문화사 시론 |
2016.07.20 |
88 | 김애란(작가) | 한국소설 속 젊음, 젊은이들의 공간 | 2016.07.26 |
89 | 임지현(서강대) | 희생자 의식 민족주의와 식민지의 기억 | 2016.08.05 |
90 | 바바라 왈(독일 함부르크대) | The History of the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in Korea | 2016.08.12 |
91 |
Jisoo M. Kim (George Washington Univ.) |
The Emotions of Justice: Gender, Status, and Legal Performance in Choson Korea | 2016.08.18 |
92 | 윤철기(서울교육대) | 북한 이탈주민과 남북한 사회통합 | 2016.09.30 |
93 | 김성경(북한대학원대) | 남북한 주민의 마음과 통합 가능성 | 2016.10.28 |
94 |
손희정(연세대) |
"혐오를 팝니다": 미디어, 신체, 그리고 트럼프 | 2016.12.02 |
95 |
Liu guozhong(劉國忠) (淸華大) |
청화간과 중국고대문명연구 | 2017.02.13 |
96 |
Geng Yan(耿炎) (미국 코네티컷대) |
예술가, 정치 그리고 매체: 신중국 미술의 전환 |
2017.02.23 |
97 |
Shen zhihua(沈志華) (중국 냉전국제사연구센터) |
북중간 우의관계의 특수성: 표징, 기원 그리고 종결 | 2017.02.25 |
98 | 余敏玲(대만중앙연구원) |
새로운 인간 만들기: 소련과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같음과 다름(從塑造新人看中蘇政治與文化之異同) |
2017.02.25 |
99 | Edward Chang(UC Riverside) | LA Riots 25 and Race Relations | 2017.03.31 |
100 | 권김현영(이화여대) | 영페미에서 넷페미까지, 한국의 인터넷 여성운동사 | 2017.04.28 |
101 |
라승도(한국외국어대) |
한국 속의 러시아: 문화적 영향의 발자취 | 2017.05.26 |
102 |
권보드래(고려대) |
식민지의 민족과 세계: 3.1운동 전후 | 2017.07.14 |
103 |
박찬승(한양대) |
한국 뉴라이트의 기원: 통계로 본 식민지 조선 | 2017.08.04 |
104 |
김한웅(하버드대) |
티베트에서 청제국으로: 티베트 학승 쑴바켄포의 전기와 학문으로 본 18세기 티베트와 청제국 교류 |
2018.11.02 |
105 |
孙喆(중국인민대) |
청조 황제의 변경관(淸朝皇帝的边界观) |
2018.11.29 |
106 |
백광렬(서울대) |
조선후기 양반지배네트워크의 성격과 구조변동 : 상층양반의 친족연결망(kinship network)을 중심으로 |
2018.12.20 |
107 |
류충희(후쿠오카대) |
조선 지식인을 통해서 동아시아의 근대를 생각한다 : 윤치호를 중심으로 |
2019.01.10 |
108 |
김태진(서울대) |
천황의 세 신체 - 근대 동아시아 바디폴리틱 연구 |
2019.03.29 |
109 |
원미진(연세대) |
한국어교육에 있어 어휘 교육 연구의 동향과 쟁점 |
2019.04.01 |
110 |
김영욱(서울대) |
동아시아의 루소 번역에 대하여 |
2019.04.26 |
111 |
김보영(서울대) |
휴전협정과 한반도 평화체제:한국전쟁과 휴전회담 |
2019.04.29 |
112 |
최동현(군산대) |
사설과 자막, 판소리 다섯 마당의 번역과 주석으로서의 영문 자막 |
2019.05.17 |
113 |
유바다(고려대) |
19세기 후반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 |
2019.05.24 |
114 |
전종욱(전북대) |
한의학의 전통과 현대화 방안 |
2019.06.28 |
115 | 김종명(한국학중앙연구원) | 불교의례의 사상적 배경과 현대 한국 불교의 성격 | 2019.07.16 |
116 | 김경미(이화여대) | 조선시대 여성의 생활과 문화 | 2019.07.30 |
117 |
本田洋(동경대) |
한국의 공동체 만들기에 대한 사회인류학적 시론:전북 남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2019.09.20 |
118 |
이현경(캠브리지대) |
어려운 문화유산(Difficult heritage):일제강점기 건축물을 중심으로 |
2019.10.18 |
119 |
임영상(한국외국어대) |
1920~1930년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 언론, 교육, 극단, 문학 |
2019.11.01 |
120 |
정명현(임원경제연구소) |
임원경제지 번역의 종착점을 향하여 |
2019.11.15 |
121 |
장영은(성균관대) |
생존과 글쓰기 : 여성 사회주의자의 자기서사 |
2019.11.29 |
122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
법학자 정약용의 삶과 『흠흠신서』 읽기 |
2019.12.06 |
123 |
권보드래(고려대) 정종현(인하대) |
식민지 근대성 이후의 식민지 연구 |
2020.07.08 |
124 | 천정환(성균관대) | 촛불 이후의 문화연구 | 2020.07.10 |
125 |
한유나(서울대) |
예술과 종교적 에이젼시(Agency) | 2020.07.16 |
126 | 정준영(서울대) |
범죄자의 신체, 조선인의 정신 : 경성제대 정신의학교실의 서대문형무소 연구 |
2020.09.24 |
127 | 이현미(서강대) |
디아스포라 기억의 재현과 탈냉전 역사쓰기의 가능성 : [굿바이 마이러브 NK]와 [유역] |
2020.10.30 |
128 | 조재룡(고려대) | 번역 : 디스쿠르의 사건 - 앙리 메쇼닉 | 2020.11.07 |
129 | 임상석(부산대) | 한글전용과 교과서로 보는 문학사의 조건들 | 2020.11.07 |
130 | 박진영(성균관대) | 번역하는 동아시아, 상상되는 세계문학 | 2020.11.14 |
131 | 윤영실(숭실대) | 전통의 변용과 서구의 번역 ― 한국 신소설 발생의 이중조건 | 2020.11.14 |
132 | 구인모(연세대) | 김억과 프랑스 시의 성좌도 | 2020.11.21 |
133 | 이철호(동국대) | 한국의 토착지성과 영성론 ― 유영모에서 김지하까지 | 2020.11.21 |
134 | 정주아(강원대) | 주요섭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이산과 실력양성론의 딜레마 | 2020.11.27 |
135 |
김 현(연세대) 송경호(연세대) |
'安保'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 시큐리티 개념의 수용과 '안보' 개념의 성립 |
2020.12.11 |
작은포럼
연번 | 발표자 | 강연주제 | 일자 |
---|---|---|---|
1 |
박유하(세종대) |
제국의 위안부가 비판을 생각한다 | 2014.10.23 |
2 |
강정숙(한국정신대연구소) |
NGO출신 연구자가 보는 일본군성노예제와 앞으로의 과제 |
2014.11.06 |
3 | 김신현경(이화여대,시립대) | 한국 연예산업의 젠더/섹슈얼리티 정치학 | 2014.12.04 |
4 | 경순(영화감독) | 여성주의 시선은 진보하는가 | 2014.12.11 |
5 | 이영미(대중문화평론가) | 식민지 대중문화의 성격 | 2015.11.10 |
6 | 옥창준(서울대) |
냉전과 비동맹운동-냉전기 한국 지식계의 아시아 아프리카 상상 |
2015.12.03 |
7 |
Peng Mingwei(彭明偉) |
냉전기 대만의 언어정치와 식민의 아픔 - 식민지 진보주의에 대한 비판과 반성 |
2016.01.23 |
8 | 이병한(연세대) | 중화세계와 동아시아 냉전 | 2016.02.25 |
9 | 홍석률(성신여대) | 카터 행정부 시기 미국의 대한정책과 삼자회담 | 2016.03.18 |
10 | 박현호(고려대) | 사상으로서의 문학과 염상섭을 위하여 | 2016.04.05 |
11 | 김학재(베를린자유대) | 판문점체제의 기원과 그 후 | 2016.04.16 |
12 | 이문영(서울대) | 톨스토이와 평화 | 2016.05.21 |
13 | 강지윤(연세대) |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의 '사적영역' - '경제적 개인'의 성적 구성 |
2016.05.21 |
14 | 하신애(연세대) | 아시아 지역/정체성 상상과 탈중심의 문화지리학 | 2016.06.11 |
15 |
최철웅(중앙대) |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사회 금융화의 |
2016.09.10 |
16 |
홍은정(고려대) |
한반도 분쟁에 대한 중국의 위기관리 행태 | 2016.10.07 |
17 | 윤여일(서울대) | 탈냉전기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에 관한 지식 사회학적 연구 | 2016.10.15 |
18 | 김민환(서울대) | 냉전의 섬 금문도 | 2016.12.02 |
19 | 김남섭(성균관대) |
'혁명-제국 패러다임'과 소련의 냉전 경험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