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 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
제1회 “사료로 보는 동아시아사: 출토문헌과 호적 · 족보를 중심으로”(2011,北京) |
---|---|
제2회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사(士)’”(2012,서울) |
|
제3회 “유가문화와 동아시아 사회”(2013,北京) |
|
제4회 “동아시아에서의 고문헌의 유통과 문물교류”(2014,서울) |
|
제5회 “유법사상과 동아시아 지역사회”(2015,安徽) |
|
제6회 “동아시아 역사상의 문화교류와 상호인식”(2016,서울) |
|
제7회 “동아시아 전통질서와 변화” (2017, 安徽) |
|
제8회 "동아시아 역사상의 권력과 질서" (2018,제주) |
|
제9회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의 전승" (2019,雲南) |
|
日本 東京大學 東洋文化 硏究所 및 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 |
제1회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지’의 유통” (2011, 京都) |
제2회 “동아시아의 근대” (2012, 서울) |
|
제3회 “동아시아의 기억” (2013, 東京) |
|
제4회 “동아시아로부터 세계사를 본다/생각한다” (2014, 京都) |
|
제5회 “동아시아를 사유한다 – 공통 · 차이 · 관계” (2015, 서울) |
|
제6회 “아시아의 전쟁(Asian Wars)” (2016, 東京) |
|
제7회 “동방문화연구의 기억과 유산” (2017, 京都) |
|
제8회 "아시아의 여성" (2019,서울) |
|
中國 吉林大 |
제1회 “글로벌적 시각에서의 동아시아 인문사회과학연구” (2015, 吉林) |
제2회 “글로벌적 시각에서의 탈경계 동북아시아 문화교류” (2016, 吉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