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일보] 민화학회, 유교와 민화의 관련성 탐색 학술대회 개최
- 유교문화와 민화와 관련성을 탐색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한국민화학회,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는 12일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유교문화와 민화’를 주제로 ‘2015 한국민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첫 번째 기조발표를 맡은 이화여대 홍선표 명예교수는 ‘유교문화와 민화’에서 유교문화와 관련된 민화 중 ‘효제문자도’를 집중 조명한다. 홍 명예교수는 “효제문자도에는 지배층의 이상형인 사군자(士君子)상을 동경하고 희구하는 욕망이 작용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힌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신정근 소장은 두 번째 기조발표자로 나서 “유교는 욕망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려고 하는 반면 민화는 사람의 세속적 욕망에 긴밀하게 반응하는 상반성을 지닌다”면서도 “유교와 민화의 결합이 문자도나 효자도, 책가도, 감모여재도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분석한다. 경주대 정병모 교수는 ‘삼강행실도와 오륜행실도의 비교’란 제목의 발표문에서 삼강행실도류 삽화가 궁중에서 백성들을 위해 제공한 회화라는 점에 착안해 “넓은 의미에서 민화로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그는 또 각각 삼강행실도와 오륜행실도의 밑그림을 그린 안견, 김홍도를 ‘같은 스토리·다른 이미지’를 제공한 화가라는 관점에서 비교한다. 이밖에 ‘조선시대 사회 통합 이념의 상징, 효자도’(국립청주박물관 이수경 학예연구사), ‘효제문자도의 유교이념 구현’(인문예술연구소 안호숙 선임연구원), ‘민화 제사 그림의 기능에 관한 재고찰’(한국민화센터 정현 책임연구원) 등의 발표가 이어진다. 한국민화학회 관계자는 “조선은 유교국가였기 때문에 모든 문화에 유교의 이념이 스며들었고, 민화도 마찬가지”라며 “그러나 유교 이념이 민화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드물었다. 학술대회를 계기로 이런 부분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구열 기자
-
- 작성일 2015-09-11
- 조회수 3586
-
- [이데일리] 유교문화 속 민화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 2015 한국민화 학술대회 '유교문화와 민화' 주제 12일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개최 유교문화 속 민화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유교문화와 민화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한국민화학회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는 오는 12일 오전 10시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유교문화와 민화’라는 주제로 2015 한국민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신정근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장의 ‘유교민화는 가능한가?’ 등의 기조 발표와 정현 한국민화센터 책임연구원의 ‘민화 제사 그림의 기능에 관한 재고찰’ 등의 연구 발표가 있으며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장과 조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 및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가 참여하는 종합토론으로 마무리 할 예정이다. 정병모 한국민화학회 회장은 “조선시대는 유교국가이기 때문에 모든 문화에 유교의 이념이 스며들었으며, 민화에서도 이러한 측면을 살필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부족했다는 자성에서 주제를 정했다”고 말했다.
-
- 작성일 2015-09-09
- 조회수 3252
-
- [연합뉴스] "다문화 사회, 중용의 도리로 타인과 조화 유지해야"
-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대회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다문화 시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충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용의 도리를 지키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주최로 7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6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회의'에서 동일본국제대 미도리카와 히로시(錄川浩司) 이사장은 '다문화 사회 시대의 『심(心)의 창세(創世)』' 기조강연에서 다른 사람과의 조화 있는 관계를 유지하는 데 불가결한 태도로 중용의 도리를 꼽았다. 미도리카와 이사장은 "유학에서는 더불어 사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인륜의 도를 설명한다"면서 "특히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이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치지 않고 가장 적절한 곳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가 중국 산둥대 철학·사회발전연구소, 일본 동일본국제대와 공동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다문화 사회에서 우리가 어떻게 차이를 존중하면서 공존할 수 있는지 동양사상에서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택용 성균관대 겸임교수는 '다문화 공생사상으로서의 『노자』 해석' 주제발표를 통해 "'다문화화'가 당면한 핵심적 문제 중 하나는 주류문화가 비주류문화에 대해 갖는 정신적·물질적 폭력성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답을 노자 철학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자 철학의 핵심은 '무위지치'(無爲之治)로 도를 체화한 통치자 즉, 성인(聖人)이 도의 작동원리에 따라 세상을 다스리는 것으로 이를 일반화하면 주체와 타자와의 갈등을 최소화하는 갈등 관리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산둥대 송카이위(宋開玉) 교수는 중국 고대 예속 중 하나인 '혼가예속'에서 답을 찾았다. 혼가예속이란 혼가의 예의범절에 관한 풍속으로, '혼'은 남자가 장가가는 것, '가'는 여자가 시집가는 것을 말한다. 그는 '『금슬락』을 통해서 본 청 초기의 산둥성 혼가예속' 주제발표에서 "혼가의 의식은 두 성이 좋은 관계로 결합돼 위로 조상을 섬기고 아래로는 세대를 계승하게 하는 것"이라며 "그 형성과정을 보면 중국 내 여러 지역 간 풍속 차이에도 혼가예속이 어떻게 공생과 공존의 문화를 지향하는데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
- 작성일 2015-08-11
- 조회수 3301
-
- [수원일보] 제6회 한중일 공동국제학술회의: 한중일 학자들, 동양사상서 공생 해법 찾는다
- 한중일 학자들, 동양사상서 공생 해법 찾는다 이영은 기자 | yeun21@suwon.com 2015-08-03 한국·중국·일본 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문화가 어떻게 그 차이를 존중하면서 공생할 수 있을지 동양사상 속에서 그 해답을 찾는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는 오는 7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중국 산둥대 철학·사회발전연구소, 일본 동일본국제대 동양사상문화연구소와 '다문화 공생의 사회와 동양사상'을 주제로 제6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회의를 연다고 2일 밝혔다. 학자들은 어떻게 인류가 서로 차이를 인정하면서 공존과 평화를 기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화합과 합일을 강조한 동양사상에서 그 답을 찾고자 이번 학술회의를 열게 됐다. 학술회의에는 중국 측 4명, 일본 측 4명, 한국 측 3명 등 모두 11명의 학자가 발표할 예정이다.
-
- 작성일 2015-08-04
- 조회수 3128
-
- [연합뉴스] 제6회 한중일 공동국제학술대회:동양사상서 찾은 공생…한중일 학자들 머리 맞댄다
- 동양사상서 찾은 공생…한중일 학자들 머리 맞댄다 2015/08/02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7일 국제학술회의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한국·중국·일본 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문화가 어떻게 그 차이를 존중하면서 공생할 수 있을지 동양사상 속에서 그 해답을 찾는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는 오는 7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중국 산둥대 철학·사회발전연구소, 일본 동일본국제대 동양사상문화연구소와 '다문화 공생의 사회와 동양사상'을 주제로 제6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회의를 연다고 2일 밝혔다. 나라 간 장벽이 점점 사라지면서 세계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 다문화 사회로 발전했지만,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차별, 불협화음도 점점 심화하는 상황이다. 이에 학자들은 어떻게 인류가 서로 차이를 인정하면서 공존과 평화를 기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화합과 합일을 강조한 동양사상에서 그 답을 찾고자 이번 학술회의를 열게 됐다. 학술회의에는 중국 측 4명, 일본 측 4명, 한국 측 3명 등 모두 11명의 학자가 발표할 예정이다. eun@yna.co.kr
-
- 작성일 2015-08-03
- 조회수 3223
-
- [세계일보] 제6회 한중일 공동국제학술대회: 차별이 아닌 차이 인정, 다문화 공존·평화 논의
- [세계일보] 2015.7.9.목. 차별이 아닌 차이 인정, 다문화 공존·평화 논의 성균관대 유교문화硏 8월 국제학술대회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가 다음 달 7일 ‘다문화 공생의 사회와 동양사상’이란 주제로 한·중·일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중국에서는 산둥대학 철학·사회발전연구소, 일본에서는 동일본대국제대학 동양사상문화연구소가 참가한다. 학술대회는 어떻게 하면 차별이 아닌 차이를 인정하며 공존과 평화를 기획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는 서로 다른 문화적 체험을 경험한 사람들이 개인의 차이를 존중하며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지향하지만 현실은 갈등과 차별, 불협화음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연구소는 “다양한 문화가 차이를 존중하면서 평화를 지향할지를 동양사상의 관점에 밝히려 한다”고 학술대회 목적을 밝혔다. 일본 측 마츠오카 미키오 교수는 ‘‘나’라고 하는 우주-지구불교자들의 평화에의 어프로치’라는 글을 통해 범지구적으로 평화운동을 전개하는 달라이 라마, 틱낫한, 이케다 다이사쿠의 사상과 행동을 살펴본다. 마츠오카 교수는 “모든 것이 서로 연결, 의존되어 있고 전 우주는 하나며 이것을 자각한 사람이 붓다”라며 “이를 통해 세계의 평화와 공존 공생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중국의 쑹카위 교수는 논문 ‘한어관화의 1인칭 대명사, 원대에서 청대의 변화 과정 고찰’에서 원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는 시기 언어의 변천과정을 통해 전통시대 중국의 언어가 다른 민족의 언어와 만났을 때 일어난 변화과정을 분석해 언어 안에 담긴 다문화의 공존과 흔적을 검토한다. 한국에서는 조선대 이철승 교수가 유가의 화(和)의 세계관이 오늘날 현대 다문화 사회에서 요청되는 윤리를 어떻게 끄집어 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예정이다. 이 교수는 다문화 사회에서 유교의 윤리가 보편윤리로서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서울대 강중기 교수는 중국 근대 사상가 량수밍을 통해 동서문화의 이질성을 파악하면서 계승과 조화를 중시하면 동서 문화 혹은 전통과 현대가 융합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강구열 기자
-
- 작성일 2015-07-10
- 조회수 3408
-
- 2015 유교문화연구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대회
- 2015 유교문화연구소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대회 보도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작성일 2015-07-10
- 조회수 3220
-
- 2015 유교문화연구소 춘계 학술회의
- 2015 유교문화연구소 춘계 학술회의 보도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작성일 2015-05-12
- 조회수 3196
-
- 2014 유교문화연구소 학술회의 보도자료
- 2014년 유교문화연구소에서 기획한 학술회의의 보도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작성일 2015-01-21
- 조회수 3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