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22]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1권
- 유교문화연구소
- 조회수870
- 2021-04-01
저자:신정근 외
목자:
서문
백가쟁명百家爭鳴, 21세기 유교 연구의 방향 / 신정근
1. 문제 제기
2. 유교는 지금도 작문해도론作文害道論을 주장할 수 있을까?
3. 국학國學의 담론을 넘어
4. 현재와 미래의 도전
5. 결론: 미래 유교 연구의 방향
유학 탐구의 한 궤적 / 윤사순
1. 철학 문제 중심의 첫 연구: 소이연과 소당연의 연구
2. 본성 연구에 대한 분석
3. 두 윤리설들의 해명
4. 이황의 철학과 실학의 철학
5. 한국유학의 특수성과 흐름의 조명
6. 신실학 형성의 시도적 구상
7. 탐구 궤적을 돌아보고서
유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내가 유교를 공부하는 ‘관점’ / 이용주
1. 유학 혹은 유교는 언제, 어디서 탄생했는가?
2. 그렇다면, 유학의 핵심 사상은 무엇인가?
3. 유교·불교·도교는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가?
4. 유학에서 공자와 맹자 그리고 주자의 위치
5. 삼원오기三元五期: 유학의 세 가지 발전 방향과 다섯 발전 시기
6. 유학은 철학인가 종교인가? 아니면 ‘다른’ 무엇인가
유교, 쟁탈의 해소와 예방으로 가는 장정長程 / 이봉규
1. 머리말
2. 인륜과 예禮: 쟁탈의 해소를 위한 유교의 대안
3. 실학實學 연구의 계승과 심화
4. 동아시아 유교사에서 본 조선 유교
5. 맺음말
백가쟁명百家爭鳴과 사문난적斯文亂賊: 유교의 역사와 정치적 사
유 그리고 나 / 김석근
1. 불감청不敢請: 축하와 감사
2. 지우학志于學: 한문·주자학·당쟁사黨爭史
3. 학불염學不厭: 망박섭렵忙迫涉獵과 횡설수설橫說竪說
4. 사무사思無邪: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천류불식川流不息
유학과 함께 떠나는 돌봄과 공생의 길! / 김세정
1. 철학-유학에 대한 첫걸음
2. 양명학은 생명철학이다
3. 한국양명학의 뿌리를 찾는 여정
4. 환경철학과의 만남 그리고 유가생태철학을 향해
5. 내가 생각하는 유학: 생명을 살리는 살림의 유학
6.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한국 근대 유교의 역사 의미론: 19, 20세기 유교의 존재 물음과 대응을 중심으로 / 이행훈
1. 근대 전환기 유교
2. 운화와 기학
3. 신학과 구학
4. 유교의 세 지평
5. 고금 통변
이 시대에 양명학은 왜 이단이 아니고 정통인가? / 정인재
1. 조선초기 성리학
2. 중국에서의 양명학 비판
3. 조선에서의 양명학 비판
4. 주자학과 양명학의 다른 점
5. 결론
유학의 미래, 교육철학의 환원: ‘인적 자원’에서 ‘인간’으로 / 정석도
1. 머리말
2. 거두사회, 절미교육
3. 유학이 나설 ‘때’, 공자의 교학
4. 수신: ‘인간’의 회복
5. 맺음말
『맹자』 ‘천작天爵’ 개념의 현대적 접근 / 이용윤
1. 들어가는 말
2. 새로운 철학적 전통의 기획
3. 맹자의 철학적 기획: 성선설
4. 천작天爵 개념의 지향점
5. 나오는 말
유학儒學과 경經의 역사 / 정병섭
1. 서론
2. 경經의 확립
3. 유가와 육경六經 Ⅰ: 사경四經
4. 유가와 육경 Ⅱ: 오경五經
5. 유가와 육경 Ⅲ: 육경六經
6. 한대와 오경五經
7. 결론 304
경전과 현실 사이: 개별주의로 본 주역의 힘 / 박영우
1. 서론
2. 경전으로서 『주역』의 역할: 오경과의 차이점
3. 현실과 경전 사이: 『주역』 텍스트 해석에 대한 ‘개별주의’적 특징
4. 『춘추좌전』에 기록된 『주역』 해석의 개별주의적 특징
5. 결론
출간년월:20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