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21]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
- 유교문화연구소
- 조회수1219
- 2021-04-01
저자:황준걸
목차:
옮긴이 서문
지은이 서문
서론 유가의 인문정신 전통과 중국의 역사학
1. 이끄는 말
2. 유가의 인문 전통 속의 역사 의식
3. 중국의 역사 사유 중 유가적 요소
제1부 중국적 역사 사유의 핵심과 발현
제1장 중국 전통 역사 사상 속의 시간 개념과 그 특질
1. 이끄는 말
2. ‘시간’에서 추출해낸 ‘초시간’
3. ‘시간’ 속 ‘초시간’의 등장
4. 결론
제2장 중국의 역사 서술에서 사론史論의 작용과 이론적 문제
1. 이끄는 말
2. 전통적 중국의 역사 서술에서 ‘사事’와 ‘리理’의 관계 변화
3. 사론의 작용(1): ‘개별[殊相]’에서 ‘보편[共相]’으로
4. 사론의 작용(2): ‘금’으로 ‘고’를 풀고 ‘고’를 ‘금’의 거울로 삼다
5. 사론의 작용(3): ‘사실 판단’과 ‘도덕 판단’을 어우름
6. 결론
제2부 유가 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의 전개
제3장 중국 고대에서 유가적 역사 사유의 방법과 운용
1. 이끄는 말
2. 유가적 역사 사유 속의 ‘시간’ 개념
3. 유가적 역사 사유의 방법: ‘비比’와 ‘흥興’
4. 고대 유가적 역사 사유의 운용
5. 결론
제4장 유가적 담론 속의 역사 서술과 보편 원칙
1. 이끄는 말
2. 유가의 역사 서술은 보편 원칙을 입증하는 수단이다
3. 유가적 역사 서술과 보편적 원칙 사이의 긴장:경전 속의 ‘도’와 성인
4. 경전을 해석하여 ‘도’를 찾는 두 가지 방법과 문제
5. 결론
제5장 유가적 역사 서술의 특성: 주희의 역사 서술에서 성왕의 모범
1. 이끄는 말
2. 송대 유가의 역사 서술에 드러난 지향점
3. 주희의 역사 서술 속에 숨어있는 사상적 함의
4. ‘역사에 입각해서 리理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물음과 대답
5. 결론
제6장 유가적 역사 해석의 이론적 기초: 주희의 중국 역사에 대한 해석
1. 이끄는 말
2. 중국 역사의 시대 구분: 정치와 문화의 특성
3. 주희 역사 해석의 이론적 기초 및 그 문제
4. 주희의 역사 해석에서 현실적 고려
5. 결론
제3부 중국적 역사 사유의 현대적 전환
제7장 전목(첸무) 사학 속의 ‘국사’관과 유가 사상
1. 이끄는 말
2. 전목(첸무) ‘국사’관의 함의 및 그 역사 배경
3. 전목(첸무) ‘국사’관 속의 사학 방법론
4. 전목(첸무) ‘국사’관의 중국 현대 사학사적 의미
5. 전목(첸무) 사학 속의 유가 사상
6. 결론
맺음말 유가 사상과 중국 전통 역사 사유 속의 인문 정신
부록 1 중국적 역사 사유의 특징
1. 이끄는 말
2. 중국에서 역사학의 중요성
3. 중국적 역사 사유 속의 시간 관념
4. 중국적 역사 사유에서 두드러진 두 가지 측면
5. 결론
부록 2 세계화 시대와 주희의 ‘리일분수理一分殊’설의 새 의미와 새 도전
1. 이끄는 말
2. 주자학 속 ‘리일理一’과 ‘분수分殊’의 관계: ‘리’의 다변성을 함께 논의함
3. 세계화 시대 주희의 ‘리일분수’설이 주는 새 계시와 새 도전
4. 결론: 수많은 ‘리’ 속의 구동존이求同存異
감사의 말씀
참고 문헌
출간년월:20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