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23]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권
- 유교문화연구소
- 조회수1702
- 2021-04-01
저자:신정근 외
목차:
서문
『시경』과 당시唐詩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추출 및 유형화
: 연무宴舞·전무戰舞·취무醉舞·신무神舞 / 김미영
1. 들어가는 글
2. 『시경』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추출
3. 당시唐詩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분석
4. 연무宴舞·전무戰舞·취무醉舞·신무神舞
5. 나오는 글
조선후기 문인들의 ‘소확행’ 음악활동 / 송지원
1. 머리말
2. ‘닦는 음악’에서 ‘소통하는 음악’으로
3. 임원林園에서의 음악 생활
4. 맺음말
조선시대 18, 19세기 화론?論에서 중시된 ‘기奇’와 ‘예藝’ / 고연희
1. 머리말
2. 18세기, 기경奇景의 추구
3. 19세기, 문자기법文字奇法의 추구
4. 18세기에서 19세기로
5. 맺음말
장자의 자연自然과 기인奇人의 상관성: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醜의 미학』을 중심으로 / 임태규
1. 들어가는 글
2. 장자 기인奇人 이해의 주변
3. ‘기인’의 세 가지 유형
4. 나가는 글
기이한 정상: 유교가치 실현을 위한 제언 / 전성건
1. 서론
2. 정상화의 역사화 과정
3. 정반합의 논리적 모순
4. 수사학의 미래적 선택
5. 결론
「심기리心氣理」편에서는 왜 리理를 유교의 최상위 개념으로 설정했는가? / 이해임
1. 들어가는 글
2. 마음은 외부대상의 자극으로부터 어떻게 반응하는가?
3. 양기는 마음의 지각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가?
4. 형이상의 리가 형이하의 세계를 어떻게 주재하는가?
5. 나오는 글
서학의 욕구론과 위정척사파의 비판: 김평묵의 『벽사변증기의』를 중심으로 / 이원석
1. 들어가며
2. 『칠극』의 지평과 유가 비판
3. 김평묵의 『칠극』 비판
4. 결론
과욕寡欲에서 양욕養欲으로 / 권오향
1. 들어가며
2. 욕欲의 의미와 가치
3. 욕欲은 왜 억눌려 왔는가?
4. 욕欲이 왜 현대에 권리로 부상하는가?
5. 결론
유학에서 경經의 수렴성으로부터 예藝의 확산성까지: 규범 원리와 심미 의식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엄연석
1. 머리말
2. 유학에서 경經의 일반적 의미와 상관개념
3. ‘문文’의 의미와 예藝의 확산적 특성
4. 문文과 질質, 인의와 예악의 연속성과 균형 조화
5. 맺음말
천리天理의 ‘공공성’과 ‘현실성’: 일관된 충서忠恕의 리理가개인 및 사회에 가지는 의미에 관한 소고 / 정도원
1. 서론: ‘리理’라는 ‘말’의 의미
2. 사람 사는 이치로서의 천리天理와 공리公理
3. ‘일관一貫’된 ‘천天’리理의 인식과 의미
4. ‘공公’리理의 실현과 개인의 행복
5. 결론: 천리天理에 대한 도학 담론의 가치
신유학의 불교 비판과 유학의 복원: 이정 형제를 중심으로 / 이현선
1. 들어가는 말
2. 불교 우위의 ‘현재[今]’: 불교의 유학화와 유·불 융합론
3. 이정 형제 이전 송대 유학의 불교 비판
4. 이정 형제의 불교 비판: 유·불 융합론의 모순
5. 「중용장구서」에 나타난 주희의 도통론과 이정二程 계승
6. 나가는 말
주자의 『주역본의周易本義』 권수卷首 구도九圖는 어떻게 정正이 되었는가 / 임재규
1. 서언
2. 조선 역학에 있어서 『주역전의대전』과 『주역본의』의 권수卷首 구도九圖
3. 『주역전의대전』 이전 중국 역학에 있어서 『사고전서』 본 『주역본의』 판본과 『주역본의』의 권수 구도九圖
4. 왕무횡王懋?의 「주역본의구도론周易本義九圖論」
5. 『주역본의』 권수 구도 중의 「괘변도」와 『주역본의』의 주문注文
6. 결어
양명의 탈성화脫聖}化 기획 / 설준영
1. 존재 양태로서의 성인
2. 행위 양태로서의 성인
3. 심즉리를 통한 탈성화脫聖}化 기획
출간년월:2019-12